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역사회간호학요약12

지역사회간호학 5 건강증진(오타와 헌장이 뭐였지? 생각한 사람 들어와) 안녕하세요. 전국의 간호학도 여러분들 오늘은 지역사회간호학에서 건강증진 파트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증진 파트는 분량이 그렇게 많은 파트는 아니지만 매년 1문제씩은 출제되는 파트입니다. 분량이 적으니까 크게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 오늘 배우실 내용은 크게 1.건강증진의 이해 2. 건강증진의 이론적 모형 3. 우리나라 건강증진 대책 4.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1. 건강증진의 이해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의 개념 건강(Health)과 증진(Promotion)의 두 용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 그대로 '건강을 더 좋은 상태로 향상한다.'라는 의미이다. Green(1984): "건강증진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보건교육과 조직적, 경제적, 환경적 차원의 지지이다." WHO(.. 2023. 1. 9.
지역사회간호학 4-4 역학과 보건통계(역학연구방법) part.4+기출 안녕하세요. 전국의 간호학도 여러분들😊 오늘은 역학과 보건통계 드디어 마지막입니다. 😁 오늘까지 하면 역학과 보건통계가 끝이고 간호관리학 이어서 하겠습니다. 그래서 오늘 배울 내용은 1. 기술역학 2. 역학연구방법 1. 기술역학 1) 인적변수 -연령, 성별, 종족, 종교, 경제상태, 직업, 결혼상태 등 => 별로 말 안 해도 이 정도는 외울 수 있죠?.. 2) 시간적 변수 (1) 추세변화(장기변동) (2) 주기변화(순환변화) (3) 계절적 변화 (4) 일일변화(돌연유행, 불규칙 변화) 추세변화(장기변동) 어떤 질병을 수십 년 관찰하였을 때 증가 또는 감소의 경향을 보이는 경우 (장티푸스는 20~30년 주기로 반복) 주기변화(순환변화) 질병 발생양상이 수 년의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달라지는 것으로, 집단 .. 2021. 6. 24.
지역사회간호학 4-3 역학과 보건통계(역학측정지표) part.3+기출 안녕하세요. 전국의 간호학도 여러분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서 역학과 보건통계 part.3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역학과 보건통계가 part.4까지는 해야 할 거 같네요.😂 힘드시겠지만 생각보다 외울 게 많아서 나눠서 하는 것이니 이해해 주세요. 😂 오늘 배울 내용은 1. 역학적 측정지표 2. 타당도와 신뢰도 시작해 봅시다. 1. 역학적 측정지표 (1) 발생률 (2) 유병률 (3) 이차 발병률 (4)상 대위험비 (5) 기여위험비 (6) 교차비 발생률 -일정한 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 수(예방접종이나 이미 감염된 사람은 분모에서 제외) -질병에 걸릴 확률 또는 위험도를 나타냄 일정기간 위험에 폭로된 감수성 인구 중 새로 발병한 환자수/일정기간 위험에 폭로된 감수성 인구 X 10ⁿ(단위인구) 유병률.. 2021. 6. 23.
지역사회간호학 4-1 역학과 보건통계(역학의 이해) part.1+기출 안녕하세요. 전국의 간호학도 여러분들~😊 오늘은 저번에 잘해드렸다시피 다시 지역사회간호학을 시작할 것입니다. 그중에서 오늘부터는 역학을 들어갈 것입니다. 역학은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고부터 그 중요성이 커진 파트인데요. 외울 것도 많지만 계산 문제가 많기 때문에 까다롭다고 생각이 들 수 있는 파트입니다. 그래도 여러분들이라면은 잘하실 수 있겠죠? 😂 오늘 배울 내용은 1. 역학의 기능 2. 역학의 모형 3.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 수준 4. 감염이나 발병과 관련된 병원체 요인 5. 집단면역 1. 역학의 기능 ①기술적 역학의 기능 ②원인규명의 역할 ③연구전략을 개발 ④질병과 유행발생의 감시역할 ⑤보건사업 평가의 역할 -간단하게 역학의 기능 중 맞고 틀린 것을 찾는 문제로 출제됩니다. 간단하니까 쉽게 풀 수 있.. 2021.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