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전국의 간호학도 여러분들~~
오늘은 보건사업 기획을 전반적으로 다룰 것입니다.
외울 것도 많고 헷갈리기도 하는데요.
뭐 어쩌겠나요. 하라면 해야죠.😂
그래도 언제나처럼 문제도 올려드리고 할 테니 열심히들 해보게요.😁
오늘 배울 것은
1. 보건사업의 기획 모형 2. 보건사업기획 과정 3.SWOT 4. 우선순위 설정 기준 5. 보건사업 질의 구성요소
*보건사업 기획
1. 보건사업 기획 모형
MAPP | PATCH |
-1단계: 지역사회의 조직화와 파트너십 개발 -2단계: 비전 설정 -3단계: 사정 -4단계: 전략적 이슈 선정 -5단계: 목표와 전략 수립 -6단계: 순환적 활동 |
①지역사회 조직화 ②자료수집 및 분석 ③우선순위 선정 ④포괄적인 중재안 개발 ⑤평가 |
이게 MAPP랑 PATCH랑 섞어두고 보기에서 MAPP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혹은 PATCH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렇게 자주 나와요. 짜증 나더라도 확실히 외워둡시다.😊
PATCH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위에 배너 눌러주시면 자세하게 정리한 글이 있으니 눌러주세요!
2. 보건사업기획 과정
①전제조건 사정 (기획팀 조직) |
정부의 관심, 법적 뒷받침, 기획담당 조직, 행정능력 등을 사정하여 전제하거나 이들이 없을 경우 전제를 만드는 것도 포함됨. | |||
②보건현황 분석 | 분석내용: 지역사회 건강수준 및 결정요인 평가, 지역사회의 관심과 장점, 지역보건체계와 지역보건사업의 평가, 건강문제와 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변화 | |||
③우선순위 설정 | ||||
④목표 설정 | ||||
⑤전략 및 세부계획 수립 | ||||
⑥실행 | ||||
⑦평가 |
이것도.. 열심히 외우셔야 합니다... 하하
3.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ats) 분석
①강점(S)과 약점(W): 사업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거나 장애가 되는 내부 환경
②기회(O)와 위협(T): 사업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거나 장애가 되는 외부환경
SO전략 강점-기회 전략 |
공격적 전략 | -강점요인을 바탕으로 기회요인을 활용하는 전략 -사업영역 및 사업구조, 사업대상 확대 |
ST전략 강점-위협 전략 |
다각화 전략 | -강점요인을 활용하여 위협요인에 대응하는 전략 -신사업, 신기술, 신공정, 신고객 개발 |
WO전략 약점-기회 전략 |
국면전환 전략 | -약점요인을 보완하여 기회요인을 활용하려는 전략 -구조조정, 혁신운동 등 |
WT전략 약점-위협 전략 |
방어적 전략 | -약점요인을 극복하며 위협요인을 회피하려는 전략 -사업축소, 사업철수 및 폐지 |
이것도 굉장히 자주 나옵니다. 각 전략별로 특징을 잘 외워주세요.
4. 우선순위 설정 기준
BPRS(basic priority rat-ing system) | =(A+2B)XC라는 공식에 따라 점수 계산 (A:문제의 크기, B: 문제의 심각도, C: 사업의 추정효과) -사업의 추정효과>문제의 심각도>문제의 크기로 우선순위에 영향을 끼침. |
PEARL | BPRS의 계산 후 사업의 실현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주로 사용하며, 하나라도 0(불가)을 받으면 사업을 시작할 수 없음. |
PATCH | 건강문제의 중요성, 변화가능성 |
Bryant | 문제의 크기, 문제의 심각도, 사업의 기술적 해결가능성, 주민의 관심도 |
NIBP | 건강문제의 크기, 해결방법의 효과 |
CLEAR | 지역사회의 역량, 합법성, 효율성, 수용성, 자원의 활용성 |
황금다이아몬드 방식 | 보건지표의 상대적 크기와 변화의 경향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 |
빨간색 먼저 외워주시고 다른 것도 한 번씩 봐주세요.
그리고 BPRS도 사람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거 같아서 BPRS에 대해 자세하게 작성한 글이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눌러주세요!!
5. 보건사업 질의 구성요소
효과성(effectiveness) | 건강 수준의 향상에 기여한다고 인정된 보건사업의 수행정도 |
효율성(efficiency) |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자원이 불필요하게 소모되지 않는 정도, 적은 비용으로 많은 효능과 효과를 달성한 정도 |
적정성(optimality) | 비용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 및 편익 |
접근성(accessibility) | 시간이나 거리 등의 요인에 의해 보건사업의 이용에 제한을 받는 것 |
가용성(availability) | 필요한 보건사업을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준비되어 있는 정도 |
합법성(legitimacy) | 윤리적 원칙과 가치, 법, 규제에 대해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
형평성(equity) | 보건사업의 분배와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공정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결정의 원칙 |
적합성(adequacy) | 대상 인구집단의 욕구에 부합되는 정도 |
효능성(efficacy) | 보건의료의 과학과 기술을 가장 바람직한 환경에서 사용하였을 때 건강을 향상시키는 능력 |
수용성(acceptability) | 대상자와 가족의 희망, 바램 및 기대에 대한 순응정도 |
이용자만족도(consumer satisfaction) | 보건사업에 대해 이용자의 기대수준이 충족된 정도 |
※기출문제
1. 보건사업기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자원을 배분한다.
②기획 과정에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배제한다.
③일관적 합의보다는 계층적 특성을 강조한다.
④환경변화에 따라 계획을 융통성 있게 변경한다.
⑤효율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 합리적 결정 수단을 제공한다.
2. 보건 기획 과정의 계획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내용은?
①사업의 결과 측정
②보건자원의 활용
③사업평가지표 선정
④인력의 채용 및 교육
⑤보건자원에 대한 정보수집
3. 보건 기획 과정의 수행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내용은?
①사업의 결과 측정
②전제조건의 사정
③사업평가지표 선정
④인력의 채용 및 교육
⑤보건자원에 대한 정보수집
4.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기획 지침으로 개발한 것으로 지역사회 조직화, 자료수집과 분석, 우선순위 설정, 포괄적 중재안 개발, 평가 등의 과정을 거치는 모형은?
①BPRS 모형
②MAPP 모형
③SWOT 모형
④PATCH 모형
⑤MATCH 모형
5.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사업 기획 모형인 MAPP에서 제시한 기획단계로 옳은 것은?
A.사정 B.비전 제시 C.순환적 활동 D.목표와 전략 수집 E.전략적 이슈 확인 F.지역사회의 조직화와 파트너십 개발 |
①A-B-E-D-F-G
②B-E-D-A-C-F
③D-E-B-A-F-C
④E-D-B-A-C-F
⑤F-B-A-E-D-C
6. 지역사회 간호사가 SWOT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떤 전력이 적합한가?
-취약계층 방문건강관리 시스템 정착화 -사업별 전문인력 확보 -건강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음주, 흡연에 대한 정책적 규제 |
①SO 전략
②ST 전략
③WO 전략
④WT 전략
⑤OT 전략
7.BPRS의 방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려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①문제의 크기
②사업의 효과
③문제의 심각도
④자원동원 가능성
⑤문제 해결 가능성
※정답
1.2
2.3
3.4
4.4
5.5
6.1
7.2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3-2 지역사회간호진단+기출 (0) | 2021.06.08 |
---|---|
지역사회간호학 3-1 지역사회간호사정+기출 (0) | 2021.06.07 |
지역사회간호학 2-3 보건의료정책+기출 (0) | 2021.05.30 |
지역사회간호학 2-2 지역사회간호행정 part.2+기출 (0) | 2021.05.30 |
지역사회간호학 2-1. 지역사회보건행정 part.1+기출 (2) | 2021.05.27 |
댓글